살다보면 이곳 저곳이 아파서 병원을 찾게됩니다. 가벼운 감기부터 중대한 질병까지 크고 작은 병은 누구나 걸릴 수 있는데요.

그런데 동일한 질병으로 다른 두 곳의 병원을 갔는데 진료비가 다르게 나왔습니다.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고, 그럼 병원비 바가지를 어떻게하면 피해갈 수 있는지 현직 의사의 꿀팁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비급여 비용을 미리 확인하자

급여, 비급여 병원갈 때, 약국 갈 때마다 많이 들어보셨죠? 비급여는 말 그대로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전액을 부담해야하는 의료비를 말합니다.
반대로 급여는 나라에서 비용을 지정하여 병원마다 동일한 특징이 있는데요.
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는 환자가 100% 부담해야 하다보니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.
하지만 보통 진료비는 우리가 진료를 다 받고 난 뒤 알게되는게 일반적인데…어떻게하면 비급여 비용을 미리 확인할 수 있을까요?
[adsense]비급여금액 방법 미리 확인방법

비급여금액을 진료 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‘건강e음’ 어플을 통한 방법입니다.

해당 어플을 당누받은 뒤 ‘비급여 진료 비용 정보’ 항목을 선택하여 검색하면 됩니다.

진료항목에 따른 지역별 평균 비급여 가격을 검색해볼 수 있으며 병원끼리 비교도 가능합니다.
독감백신
백신의 경우 어느 병원을 가도 가격이 동일합니다. 하지만 독감백신의 경우 병원마다 크게는 2만원 이상도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.
3인가구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최대 6만원 이상의 병원비가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. 따라서 독감백신도 위 방법을 토대로 검색 후 상대적으로 저렴한 병원으로 방문하시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.
이미지 : MBN 엄지의 제왕